728x90
처음 테이블뷰를 접할 때부터 봐온 DataSource
한마디로 뷰를 그려줄 대상 데이터 관리 객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위와 같이 처음엔 UITableViewDataSource 프로토콜을 채택하여 dataSource를 구현하고 데이터를 관리하는 법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이전 RxSwift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글의 예시처럼 RxSwift와 RxDataSource에서
프로토콜을 채택하여 직접 구현할 필요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dataSource를 위한 오퍼레이터를 제공해줍니다.
RxSwift만을 사용해서는 다수의 Section을 구분하는 방법이 번거롭기에 RxDataSource를 사용하게 됩니다.
위의 보이는 테이블뷰를 RxDataSource를 사용해서 구현해볼텐데요.
1. 저장할 데이터의 모델을 정의
2. 섹션 Model을 따로 정의해주어야 합니다.
- SectionOfSubject - Section에 사용될 타입
- SubjectItem - Item에 사용될 타입
3. DataSource 구현.
RxTableViewSectionedReloadDataSource로 구현하게되며 인자값은 Section모델을 넣어줌.
4. binding
5. 클릭 효과
728x90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Lab을 처음 만났을 때 (2) | 2022.09.10 |
---|---|
[iOS] Coordinator 패턴 - 에이젠 (0) | 2022.08.24 |
네비게이션 바 없애기 isNavigationBarHidden VS isHidden (feat. ScrollView) - 에이젠 (0) | 2022.08.10 |
[iOS] RXswift(5) - Combining Operator - 에이젠 (0) | 2022.05.14 |
[iOS] RXswift (4) - Opeartor (0) | 2022.05.13 |
댓글